티스토리 뷰

K-패스를 이용하면 5월부터 대중교통비를 20~53%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
기존 7월보다 2개월 앞당겨 5월 조기 시행- 3월 개통 예정인 GTX-A도 사용 가능하다고 하니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▼따라할 시간이 없다면 아래 '바로가기'를 이용하세요.▼

 

국토교통부

 

 

 

 

 

 

K-패스 사업 개요

K-패스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이다.

알뜰 교통카드의 이동거리 기준 적립 방식을 없애고, 대중교통비 지출액의 정률(20~53%) 계층별 적립 방식으로 개선함.

 

 

 

 

지급 요건

  •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,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에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.(최대 60회까지)
  • 환급 비율은 일반인 20%, 청년층 30%, 저소득층 53%다.

 

 

적용 수단 범위

시내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민자철도 등 교통 카드 기반 대중교통 수단 적용, 특정 지역이 아닌, 전국 단위 호환

* 예시) 서울지역 가입자가 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 시에도 혜택 적용

 

 

 

지급 방식

다음 달에 이용자에게 직접 환급(현금, 마일리지, 카드 공제 등)

알뜰교통카드를 사용 중인 이용자는 별도의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로 K-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
 

알뜰교통카드와 K-패스 비교

 

 

참여 지역

현재 176개 지자체에서 189개 지자체로 확대('24. 5월~) 계획
인구수가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가 참여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.

  • (현재 176개) 서울, 인천, 경기, 대전, 세종, 광주, 부산, 대구, 울산 등 주요 지자체 모두 참여
  • (추가 13개) 동해, 삼척, 태백, 횡성, 영월, 음성, 진천, 보은, 영동, 증평, 괴산, 단양, 장성 

 

 

 

사업 효과

  • 출발, 도착 기록에 따른 이용자 불편 등 알뜰 카드의 단점을 개선하고, 알뜰 카드 대비 적립 혜택을 확대하여 이용자 편익 강화한다.
  • 전국적으로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돼 대중교통 이용의 경제적 부담이 커졌으나, K-패스를 사용한다면 전국 어디에서든 교통비 부담을 획기적으로 덜 수 있을 것이고, 각 지자체와 협력해 K-패스를 기반으로 지역민 혜택을 강화할 수 있는 '지역맞춤형 K-패스 사업'도 적극 발굴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.

 

 

 

 

FAQ (자주묻는질문)

신규 카드는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?

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-패스 누리집(korea-pass.kr)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, 11개 카드사의 누리집을 통해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.

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도 새로 만들어야 하나요?

기존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는 기발급 카드로 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 예정이니 새로 만들필요가 없습니다.

 

 

 

함께 보면 좋은 글

 

 

 

교통카드

 

교통카드

 

교통카드